2025-07-08 HaiPress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조선 전기 '시왕도' 2건
국가유산청·국외재단 공개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가운데 발원문.
국보급 고려 사경(寫經)과 귀한 조선 전기 불화 '시왕도' 완질본이 일본에서 환수됐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8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근 일본에서 반환한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와 '시왕도' 등 2건을 환수해 언론에 첫 공개했다.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감색(紺色) 종이에 금니(金泥)로 필사한 귀한 문헌이다. 지난해 10월 일본 소장자가 국외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됐다. 이번에 환수한 유물은 주본(周本) 80권 중 제22권을 옮겨 적은 것으로,화엄경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이 도솔천궁으로 올라가는 과정을 기록했다. 세로 36.2㎝,가로는 10m가 넘을 정도로 길다. 코리아나화장박물관 소장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권15'(보물)의 발원문과 내용이 일치해 동질의 화엄경이라고 국가유산청은 밝혔다. 발원문에는 원통 2년(1334년) 정독만달아(鄭禿滿達兒)가 부모님과 황제 등의 은혜에 감사하며 화엄경 등을 사성(寫成)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일본서 환수한 '시왕도' 가운데 여섯번째 그림인 제6 변성왕도.
비슷한 시기에 국내 반환한 '시왕도'도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현전하는 조선 전기 완질 시왕도 2점 중 하나다. 국외재단이 2023년 8월 일본 경매 출품 정보를 입수한 후 낙찰받은 작품이다.
시왕(十王)은 사후세계에서 인간들의 죄의 경중을 가리는 10명의 심판관이다. 이를 그린 시왕도는 총 10폭으로,1폭당 1명의 시왕과 지옥 장면이 그려져 있다. 대표 지옥왕인 염라왕이 쓰고 있는 면류관에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는 점이 독특하다. 북두칠성은 민간신앙에서 수명을 관장하는 별로,염라왕이 죽음을 관장했던 시왕임을 의미하며 그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변성왕 그림에서는 확탕지옥(쇳물이 끓는 솥에 삶기는 고통을 받는 지옥)의 끓는 물이 극락세계의 연지(蓮池)로 바뀌고 그 속에서 화생한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향휘 선임기자]
고려 사경과 조선 전기 불화 환수의 역사적 의미는?
일본 내 한국 문화재 환수가 국내 문화유산 보호에 미칠 영향은?
검색
07-08
07-08
07-08
07-08
07-08
07-08
07-08
07-08
07-08
07-08